
김예지 의원(왼)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오유경 식약처장(오)에게 질의하고 있다.ⓒ국회방송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예지 의원(국민의힘)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지난달 논란이 됐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는 허위 발언이 맘카페 등 커뮤니티에 퍼져 불안감을 조성한 논란을 언급하며, "식약처의 대응이 늦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식약처가 초기에 아무런 공식 입장도 내놓지 않다가 언론과 국민 불안이 커진 뒤에야 뒤늦게 해명에 나섰다. 식약처는 약사법과 식품의약품안전처 설치법에 따라 의약품의 안전성과 위해성에 대한 과학적 평가를 수행하고, 국민에게 정확한 의약 정보를 제공해야 할 1차 책임기관"이라면서 "실제 임신을 하신 분들의 직접적 보건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오유경 식약처장이 "식약처에서는 연관사실이 없다는 것을 보도자료로 알려드린 바 있다"고 해명했지만, 김 의원은 "수많은 자폐인 자녀 어머니들은 임신 중 본인이 무언가를 잘못해서 자녀에게 자폐가 생겼다는 죄책감을 느끼고, 당사자분들은 자신의 존재에 대해 위축감을 느끼는 등 이분들께 크나큰 상처를 입혔다"면서 "식약처의 대응을 묻기 위해 서면 질의했지만 '장애 인식을 개선하는 업무는 식약처 소관 사항이 아니'라고 답변했다. 충격적이다. 장애와 관련한 정책은 부처 구분이 없다"고 질타했다.
이어 "현장에서는 자폐인 인식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계신데, 도와주시지는 못할 망정 이렇게 대응하면 안된다"면서 "식약처는 이번 타이레놀과 자폐성장애 연관 발표뿐 아니라 향후 장애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약품 및 식품 관련 허위정보가 발생할 시, 국민이 장애인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체적인 정책을 수립해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 초안을 마련해 의원실로 종합감사 전까지 보고 바란다"고 주문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